소셜 미디어 단상 그린 데이 2009. 11. 3. 21:41
요즘 네이버 뉴스캐스트를 보면 선정적 기사로 도배된 저급 주간지의 표지가 연상됩니다. 뉴스캐스트 선정성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올해 초(1월) 개편 시행시점부터 이슈가 되면서 우려를 낳았죠. (관련 글: 뉴스캐스트, 딸내미 볼까 무서워...) 네이버 운영사인 NHN은 지난달말 뉴스캐스트 참여 언론사를 47개에서 73개로 늘리며 온신협(온라인신문협회) 대표들에게 공문을 보내 이달 2일부터 옴부즈맨 제도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NAVER 옴부즈맨 심의 절차 옴부즈맨 제도는 말 그대로 각 언론사가 편집한 뉴스캐스트를 외부인사들로 구성된 위원회에 맡겨 그 평가 결과를 공개하고 지적사항을 개선하는 제도라고 하는데요.이 제도가 얼마나 실효를 거둘지는 미지수지만 가뜩이나 경쟁자가 늘어 심기 불편한 언..
소셜 미디어 단상 그린 데이 2009. 2. 10. 00:29
뉴스캐스트에 걸리는 기사 수위가 도를 지나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유난히 눈쌀을 찌푸리게 하는 제목들이 자주 눈에 띄어 한번 캡쳐해 봤습니다. 이거 원... 어떤게 스포츠 신문인지 헛갈리네요. 기사들을 몇 개 열어봤습니다. * 불황에 콘돔이 잘 팔리는 까닭 불황일수록 잘 팔리는 열등재에 대한 기획 기사였습니다. 립스틱, 라면, 소주와 같은 제품은 가난해질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제품이라는 내용. 그런데 이 기사는 2월 7일에 발행됐던 뉴스였습니다. 제목의 선정성도 문제지만 이틀 전 기사를 메인에 올릴 만큼 중요한 내용이었는지 의문이 듭니다. (다시 보니 매경 이코노미 - 주간지 기사네요. 일간지 기준으로 뉴스캐스트 메인이 구성되어 있는줄 알았는 데, 아닌가 봅니다. 주간조선, 한겨례21 등도 내용에 포..
소셜 미디어 단상 그린 데이 2009. 1. 28. 17:39
네이버 메인이 개편된 지 한 달이 지났다. 지난 1월1일부터 메인 페이지 뉴스박스 편집권을 저작권자인 각 언론사에 넘겨준 네이버는 약간의 트래픽을 잃었지만 의도했던대로 그간의 포털의 미디어 논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언론사에게 선물이자 숙제가 된 '뉴스캐스트'는 기업에도 관련 긍/부정 이슈가 노출될 확률이 40배쯤 높아지면서 강력한 영향력 행사자가 되었다. '뉴스캐스트'라 불리는 네이버 최상단 뉴스 박스의 변화와 관련 업계의 분위기를 정리해 봤다. 뉴스캐스트란? 네이버가 정의한 뉴스캐스트란 언론사가 직접 편집, 운영하여 언론사의 '주요뉴스'를 전달할 수 있는 '언론사별 편집박스'이다. 종합지, 전문지, 방송사 등 다양한 언론사가 참여하며 문광부 정기간행물에 등록된 매체로 인터넷 서비스를..